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CREATE, DROP, ALTER, TRUNCATE [정의]
- 데이터 정의 언어
DQL(Data Query language) : SELECT [질의]
- 데이터 질의 언어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INSERT, UPDATE, DELETE [조작]
- 데이터 조작 언어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COMMIT, ROLLBACK
- 데이터 제어 언어
Talbe
-- Column(열), Variables(변수들), Fileds, Attributes(속성)
-- ROw(행), Observation(관찰), Records(기록), Examples
Ctrl+Enter: 커서가 위치한 곳의 SQL 한 문장(명령어)을 실행.
F5: 스크립트 실행. 파일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문장(명령어)를 실행
■ DB와 Java 연동하기 위한 작성 순서
1. DB와 연동하기 위해 필요한 상수들을 정의(세팅)
2. JDBC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로드
3. DB와 Connection(연결)을 맺음
4. Connection 객체를 사용하여 Statement 객체를 생성
5. SQL 문장을 생성
6. Statement 객체를 사용하여 SQL 문장을 실행(DB 서버로 SQL 문장을 전송)
7. DB 서버가 보내준 결과를 확인/처리
SQL 문법을 공부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문법을 공부하는 방법
책이나 온라인 강좌를 통해서 문법 자체를 공부하는 방법 입니다. 시중에 보면 많은 SQL 책들이 있습니다. 이중 하나를 골라 해당 문법을 순서대로 익히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구글 검색을 통해서 필요한 명령어에 대한 문법을 찾아서 공부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 직접 SQL을 작성, 실행하며 공부하는 방법
제가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하나하나씩 SQL 명령어를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실행해보면서 다양한 케이스로 응용해보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데이터베이스 명령어를 다양한 케이스로 연습을 하다 보면 간단한 SQL 명령어 문법을 금방 익히실 수 있습니다.
3) 누군가의 SQL을 훔쳐보자
다른 사람들이 작성한 SQL과 데이터를 나만의 연습용 데이터베이스에 넣고 SQL을 실행해보고 나오는 결과와 SQL 구문을 하나하나 확인해 보는 겁니다. "왜 이렇게 결과가 나왔을까?", "어떤 테이블이 어떤 테이블과 어떻게 Join 되었을까?" 이런 궁금증을 가지고 한 땀 한 땀 확인해보는 방법입니다.
4) 데이터베이스에 관해서 이해하자
데이터베이스 자체를 잘 모른다면 SQL을 잘하더라도 활용하는 데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배경 지식을 공부한다면 SQL 문법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함수 사용법 익히기
다양한 RDBMS (oracle, mysql, mariadb, ms-sql, postresql, greenplum 등등)는 각각 다양한 함수(function)를 지원합니다. 함수를 잘 사용한다면 SQL을 좀 더 유연하게 작성하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하였듯이 각각 RDBMS 마다 지원하는 함수가 다르니 내가 사용하는 RDBMS가 어떤 함수를 지원하는지 미리 숙지하면 좋습니다.
'개발 > 데이터베이스 연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기본 쿼리) -1 (0) | 2021.12.14 |
---|